2021. 1. 7. 14:54ㆍJAVA SCRIPT
1. 화살표 함수
문법
let func = (arg1, arg2, arg3, ... , argN) => expression
이 코드에서는 인자 arg1, arg2, arg3, ... , argN을 받는 함수 func가 만들어진다.
함수 fucn는 화살표(=>) 우측의 표현식(expression)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반환한다.
아래의 코드는 위의 코드와 똑같이 동작한다.
let func = function(arg1, arg2, arg3, ... , argN) {
return expression;
};
다른 예시를 살펴보자
let sum = (a, b) => a + b;
위의 코드는 다음의 코드와 같은 코드이다.
let sum = function(a, b) {
return a + b;
};
alert(sum(1, 2)); //3
2. 인수가 1개일 때
인수를 감싸는 괄호를 생략할 수 있다.
예시
let double = n => n * 2;
alert(double(3)); //6
3. 인수가 하나도 없을 때
괄호를 비워놓으면 된다. 이때 괄호는 생략할 수 없다.
예시
let sayHi = () => alert("안녕하세요!");
sayHi(); //안녕하세요!
4. 화살표 함수를 아용하여 함수를 동적으로 만들기
예시

5. 본문이 여러 줄인 화살표 함수
본문이 여러 줄인 경우에는 중괄호로 감싸주어야 한다.
또한 return 지시자를 사용해 명시적으로 결과값을 반환해 주어야 한다.
예시
let sum = (a, b) => {
let result = a + b;
return result;
};
alert(sum(1, 2)); //3
'JAVA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SCRIPT]화살표 함수 연습 문제 (0) | 2021.01.07 |
|---|---|
| [JAVA SCRIPT]함수 표현식 (0) | 2021.01.07 |
| [JAVA SCRIPT]함수 연습 문제 (0) | 2021.01.05 |
| [JAVA SCRIPT] 함수 (0) | 2021.01.05 |
| [JAVA SCRIPT]switch 문 연습 문제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