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SCRIPT(24)
-
[JAVA SCRIPT]if 문 연습 문제
1. if와 문자열 0 해답 "0"은 비어있는 문자열이 아니므로 alert는 실행된다. 2. 자바 스크립트 공식 이름 해답 atom을 이용한 코드 작성 3. if를 "?"로 교체하기 해답 let result = (a + b < 4) ? "미만" : "이상"; 4. if, else를 "?"로 교체하기 해답 let message = (login == "직원") ? "안녕하세요." : (login == "임원") ? "환영합니다." : (login == "") ?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
2021.01.03 -
[JAVA SCRIPT]if와 "?"를 사용한 조건 처리
1. if 문 if(조건문)은 조건문이 true일 때 코드 블록이 실행된다. if 문 다음의 코드들을 "{}"를 이용해 "블록"으로 만들어주는 것이 가독성이 증가한다. 2. 불린형으로의 변환 if 문은 조건문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불린값으로 변환한다. 0, "", null, undefined, NaN = false 값 평가를 통해 확정된 불린값을 if문에 전달할 수 도 있다. 예시 let cond = (year == 2015); //동등 비교를 통해 true, false 결정 if (cond) {} 3. else 절 if 문에는 else 절을 붙일 수 있다. else 절은 if 문이 거짓일 때 실행된다. 4. else if로 복수 조건 처리하기 else if(조건문)으로 if문이 아닌 다른 조건문을 추가..
2021.01.03 -
[JAVA SCRIPT]연산자 연습(전위형과 후위형, 형 변환)
1. 전위형과 후위형 해답 a = 2, b = 2, c = 2, d = 1 전위형: 증가 후의 값 반환 후위형: 증가 전의 값 반환 2. 할당 후 결과 예측하기 해답 a = 4, x = 5 3. 형 변환 "" + 1 + 0 = "10" //"" + 1에서 1은 문자형으로 변환된다. "" - 1 + 0 = -1 //"" = 0, "-"는 숫자형만을 인수로 받으므로 빈 문자열 ""은 0으로 변환된다. true + false = 1 6 / "3" = 2 "2" * "3" = 6 4 + 5 + "px" = "9px" "$" + 4 + 5 = "$45" "4" - 2 = 2 "4px" - 2 = NaN 7 / 0 = Infinity " -9 " + 5 = " -9 5" //피연산자 중 하나가 문자열이면 숫자는 문..
2021.01.03 -
[JAVA SCRIPT]여러 가지 연산자(할당 연산자부터)
1. 할당 연산자 무언가를 할당할 때 쓰이는 "="는 할당 연산자이다. 값을 반환해준다. x = value를 호출하면 value가 x에 쓰여지고, 이에 더하여 value가 반환된다. 2. 할당 연산자 체이닝 할당 연산자는 여러 개를 연결 할 수 있다. a = b = c = 2 + 2; 평가는 우측부터 진행된다. 2 + 2가 평가되고, c, b, a에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3. 복합 할당 연산자 예시 "+=", "*=" n += 5; //n = n + 5; n *= 2; //n = n * 2; let n = 2; n *= 3 + 5; alert(n); //16, 복합 할당 연산자는 우선 순위가 거의 마지막이다. 4. 증가, 감소 연산자 (1) 증가 연산자 ++ "++"는 변수를 1 증가시킨다. 예시 let..
2020.12.30 -
[JAVA SCRIPT]기본 연산자와 수
1. 용어 (1) 피연산자 연산자가 연산을 수행하는 대상이다. 예를 들어 5 * 2에서는 외쪽 피연산자 5, 오른쪽 피연산자 2의 두개의 피연산자가 존재한다. 피연산자는 "인수"로 불리기도 한다. (2) 단항 연산자 피연산자를 하나만 받는 연산자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피연산자의 부호를 뒤집는 단항 마이너스 연산자 "-"가 존재한다. (3) 이항 연산자 두 개의 피연산자를 받는 연산자를 말한다. "-" 연산자는 이항 연산자로도 쓰일 수 있다. 예시 let x = 1, y = 3; alert(y - x); //2, 이항 마이너스 연산자는 뺄셈을 수행한다. 2. JAVA SCRIPT에서 지원하는 수학 연산자 (1) 덧셈 연산자(+) (2) 뺄셈 연산자(-) (3) 곱셈 연산자(*) (4) 나눗셈 연산자(/) ..
2020.12.30 -
[JAVA SCRIPT]형 변환
1. 형 변환 (1) 함수와 연산자에 전달되는 값은 대부분 적절한 자료형으로 자동 변환된다. 이 과정을 "형 변환"이라 한다. (2) 형 변환 예시 alert가 전달 받은 값의 자료형과 관계없이 이를 문자열로 자동 변환하여 보여주는 것은 자동 형 변환이다. 수학 관련 연산자가 전달 받은 값을 숫자로 변환하는 경우도 자동 형 변환이다. 2. 문자형으로 변환 문자형으로의 형 변환은 문자형의 값이 필요할 때 일어난다. alert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String(value)를 통해 전달 받은 값을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다. 예시 let value = true; alert(typeof value); //boolean value = String(value); //value = "true"(문자열) alert(..
2020.12.29